實景과 歷史 그리고 想像과 現實
역사현장-공존
벌써 1년하고도 1개월이 지났다. 아니 곰곰이 생각해보면 고작 1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2002년 여름밤의 월드컵 열기 때문인지 작년 9월의 충격은 정말 옛날 일처럼 느껴진다. 다른 사소한 일들은 몇년이 지나도 바로 엊그제 일처럼 생생한데 유독 9.11테러는 오래된 과거처럼 느껴지는 까닭은 무엇일까? 티비화면을 통해 무수히 반복되는 장면들을 보면서 이미 불멸의 역사 이미지로 9.11테러가 자리잡았기 때문일까? 아니면 테러는 아니었지만 우리가 경험했던 와우아파트, 삼풍백화점, 성수대교, 아현동 가스폭발 등의 대형사고들 덕택에 아수라에 둔감해진 탓일까?
테러, 사태, 반란, 전쟁, 참사, 난동, 폭동, 학살, 혁명, 운동, 사건 등 1980년 5월 광주를 지칭하는 단어들이 각양각색이듯 2001년 9월의 뉴욕을 지칭하는 단어도 세계관과 정치관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9.11테러로 얻어진 분명한 교훈은 세계를 지배한다고 하는 '미국'이 더 이상 '美國'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선 오히려 미국 밖에서보다 미국 내에서 자성하는 목소리들을 더 크게 들을 수 있다. 20세기에 미국이 야만적인 방법으로 세계를 지배했다면 21세기부터는 그 야만의 방법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21세기 첫해 마천루가 뿌우연 가루로 무너지면서 경고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9.11은 인류역사상 가장 경제적이고 가장 예술적인 방식의 테러로 기억될 것이다. 아무도 감히 상상하지 못했던 방법이었으며 미국의 자원으로 미국을 테러하는 마치 영화와 같은 불가능한 작전이 감행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9.11테러로 희생당한 사람들의 아픔과 슬픔을 생각할 겨를도 없게 만드는 묘한 공포가 9.11테러에 자리잡고 있다. 다시 말해서 휴머니즘적 견해를 무색하게 만드는 상상을 초월한 기습테러의 당혹감이 미국을 좋아하건 싫어하건 상관없이 새로운 21세기에
들떠있던 전지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그리고 현명한 사람들은 20세기의 야만적 삶에 대해 반성의 계기를 가졌다.
9.11테러 1년을 약간 지나 열리는 성태훈의 이번 전시는 『역사현장-공존』이다. 그는 이미 1999년 첫 개인전인 『역사현장실경』전에서 배들평야, 만석보, 백산, 황토현, 우금치, 곰나루 등의 동학혁명의 현장들과 광주도청 등 광주민주항쟁의 장소를 답사하여 그려낸 서정적 실경을 보여준 바 있다. 그리고 2000년 두 번째 개인전인 『유배지 역사현장 기행』전에서 강진, 신지도, 흑산도 등 유배지를 다녀와서 그곳의 인상을 화폭에 담았다. 두 번의 개인전 모두 답사나 기행 후에 그린 실경산수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 세 번째 개인전 『역사현장-공존』은 이전의 작품들과 심한 차이를 보인다. 일단 성태훈이 이번 전시를 위해서 미국을 다녀온 것도 아니지만 9.11테러라는 최현대사라고 불리우기에도 너무나 가까운 과거에 주목하고 있다. 사실 9.11은 굳어진 역사라기 보다는 시사적이라고 불러야 자연스러울 아직도 살아있는 사건인 까닭이다.
그렇다면 성태훈은 이전의 화폭에서 지켜왔던 실경과 역사를 버린 셈이다. 다만 이전의 전시에 비해서 점점 더 강해지는 것은 성태훈 자신의 삶이다. 실경과 역사 모두 일정의 객관을 담보하는 것이었다면 『역사현장-공존』에서는 주관이 강조된다. 과거 그림들은 직접 체험하지는 않은 서적과 전해들은 이야기들로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그 당시의 감정을 어슴푸레 유추하면서 실경을 취해야만 했다. 반면 『역사현장-공존』에서는 비록 미국에서 직접 테러를 목격하지는 않았지만 생생하게 실시간으로 전해오는 정보를 받아들이며 성태훈 자신이 직접 느낄 수 있었던 감정을 그려내고 있다. 물론 이 또한 직접적이지 않은 매스컴이라는 가상의 텍스트를 받아들이고 있으나 문제는 실시간으로 성태훈이 느끼게 되는 감정의 또렷함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폐허가 된 맨해튼을 배경으로 아주 맑고 천진무구한 꼬마가 화폭에 등장한다. 이 꼬마는 다름 아닌 성태훈의 딸 윤서의 모습이다. 9.11 당시 반복되어 상영되는 티비 테러장면을 윤서를 비롯한 가족들과 함께 보면서 느꼈던 그 묘한 감정을 화폭에 담으려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實景과 歷史 그리고 想像과 現實 사이를 오가는 성태훈의 생각을 『역사현장-공존』에서 읽을 수 있다. 앞서 성태훈이 실경과 역사를 버렸다고 하였으나 한번 더 되짚어보면 그런 것도 아닌 것 같다. 우리에게 史實과 事實의 차이만큼이나 애매한 그리고 너무나 분명한 경계를 구분해야 한다는 부담은 결코 역사와 실경을 팽개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미 화석처럼 굳어져버린 역사라면 史實과 事實이 분명 다를 수도 있겠지만, 현재 진행중인 역사라면 그 구분은 매우 버거운 일이 된다. 그래서 그 버거운 성태훈의 화폭에 想像과 現實이 스며들었다. 좀더 꼼꼼하게 따져보자면 '事實과 現實'은 또 '事實과 史實'만큼이나 차이가 난다. 이 둘을 구분할 줄 아는 능력 그것이 바로 想像이지 않을까 한다. 그 상상의 힘으로 성태훈은 테러로 인해 흩날리는 뽀얀 먼지를 배경으로 그려진 텅 비어있는 앙상한 새장을 화폭에 담았다
Between
real scenery and history,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Choi
Geumsu / Art critic Historical Sites-Coexistence One year and one month have already elapsed. Reflecting on what
happened, it's unbelievable that it happened only a year ago. Perhaps it is because
of the World Cup fever in the summer of 2002, so the shock of September last
year feels like an event that occurred a long time ago. While other trivial
events seem vivid as if they happened a few days ago, even after several years,
what makes the September 11 attacks (9/11 attacks) feel like a particularly old
past? Is it because the 9/11 attacks have already been settled as an immortal
historical image, while we watch the countlessly repeated scenes on TV? Or is
it simply because we have become insensitive to bedlam due to major collapse accidents
such as Wau Apartment building, Sampoong Department Store, Seongsu Bridge, and the
gas explosion in Ahyeon-dong, even though they were not produced by terrorism? The
same way there are many words referring to Gwangju in May 1980, such as
terrorism, incident, uprising, battle, disaster, disturbance, riot, massacre,
revolution, movement, event, etc., the terms that refer to New York in
September 2001 also differ depending on each one’s the worldview and political
views. However, the clear lesson learned from the 9/11 attacks is that the “the
USA,” which is believed to rule the world, is no longer “a beautiful country.” In
this regard, the voices of self-reflection can be heard louder within the
United States than outside the country. In the first year of the 21st century,
when skyscrapers collapsed in dust, this incident clearly warned us that
America’s cruel method of domination of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would no
longer be effective from the 21st century onward. On the one hand, 9/11 attacks will be remembered as the most
economical and artistic form of terrorism in the human history. It was because
that was executed by a method beyond imagination, and an impossible operation
was conducted like a movie where a terrorism against the USA was done using the
American resources. In addition, a strange fear entails the 9/11 attacks making
it challenging to think of the pain and sorrow of the victims. In other words,
the bewilderment of an unimaginable surprise attack that overshadows humanistic
views startled people over the globe, who had been excited about the new 21st
century, regardless of their liking for the USA. At the same time, wise people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savage life of the 20th century. The exhibition of Seong Taehun held a little after the 9/11
attacks is entitled Historical sites-Coexistence. Before this, he had
already shown lyrical real scenery through his first solo exhibition Real
scenes of the historical sites, based on his visits to the site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such as Baedeulpyeongya, Manseokbo, Baeksan,
Hwangtohyeon, Ugeumchi, and Gomnaru, as well as the place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such as the Gwangju Provincial Office where he himself had visited.
Afterward, in his second solo exhibition in 2000, A journey to historical
sites of the exile, he captured the images and impression of the places of
the exile on canvas such as Gangjin, Sinjido, and Heuksando, after having
visited the sites. In both of his solo exhibitions, he adopts the method of real
landscape painting based on the personal field trips or journeys. However, this
third solo exhibition Historical sites-Coexistence presents a great
difference from previous works. First, although Seong Taehun did not visit the
United States for this exhibition, he is paying attention to the past, which is
too recent to be called the most modern history of the 9/11 attacks. This is
because, in fact, 9/11 attacks are still a vivid event that would be more natural
to call it “a current topical issue” rather than a history that had been
already solidified or completed. In this sense, Seong Taehun must have abandoned the real scenery and
history to which he was sticking in his previous canvases. Nevertheless,
compared to his previous exhibitions, what becomes stronger over time is the
very life itself of the artist. While both real scenery and history were to
guarantee a certain amount of objectivity, Historical sites-Coexistence
puts emphasis on subjectivity. The past paintings are composed of books and
stories that are not based on direct experiences. Therefore, he was required to
take the real scenery while vaguely inferring (guessing) the emotions of the
time. Contrariwise, in Historical sites-Coexistence, although he did not
witness the terrorism in person in the United States, he accepts the
information delivered vividly in real time and depicts the emotions perceivable
from the field. Of course, he accepts the imaginary text called mass
communication, which is not direct, but what matters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larity of emotions that Seong Taehun feels in real time. This
maybe the reason for which a very pure and innocent child appears on the canvas
against the backdrop of Manhattan in ruin. This little girl is Yoonseo, the
daughter of Seong Taehun. He tried to capture the strange feelings he experienced
while watching the repeated terror scene on TV with Yoonseo and his family when 9/11 attacks occurred. With this in mind, we can read his
thoughts that travel between real scenery and history,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in Historical sites-Coexistence. Previously, I mentioned that Seong
Taehun must have abandoned the real landscape and history. However, making a
closer approach once again, this may not be the case. It is because the burden
of having to distinguish the boundary that is ambiguous and extremely clear for
us as m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historical fact and reality makes it
impossible to neglect history and real scenery. If
it is a history that has already hardened like fossils, the historical fact and
the truth may be different. However, if it is an ongoing history, the
distinction becomes highly burdensome. For this reason, imagination and reality
permeated his burdensome canvas. Meticulously speaking, “truth and reality” are
as dissimilar as “truth and historical fact.” In my opinion,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is the very imagination. With the power of this
imagination, Seong Taehun expressed an empty and fragile bird cage drawn on
canvas against the backdrop of grayish dust spreading all over by the
terror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