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충환(미술평론) ▶ 트라우마와 치유, 트라우마를 싸안고 날아오르기 [Trauma, Healing and Flying with Embracing Trauma (Seong Tae-hun’s Flying Roosters)]

by 성태훈 posted Jan 08,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트라우마와 치유, 트라우마를 싸안고 날아오르기”

역사현장(1999-2003), 벽으로부터의 반추(2004-2005), 길을 묻는다(2006-2007), 매화는 추위에 향을 팔지 않는다(2008), 날아라 닭(2009). 성태훈의 그동안의 화력을 대략 주제별로, 시기별로 분류해본 것이다. 여기서 역사는 시간의 메타포, 벽은 이념의 메타포, 길은 삶의 메타포로서 각각 나타난다. 이런 일련의 메타포는 작가의 그림이 지금 여기로 나타난 현실인식에, 그리고 인간 일반의 보편적이고 실존적인 존재론적 조건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말해준다. 그의 그림에는 전통적인 먹그림의 순수하고 추상적인 관념과 이상을 위한 자리가 없다. 그 빈자리에 치열한 현실인식이 들어선다. 엄밀하게는 전통적인 먹그림의 유산인 관념과 이상을 현실인식과 결부시켜 지금의 관념으로, 여기의 이상으로 바꿔놓는다. 전통의 유산을 동시대적인 상황논리로 환골탈태시켜놓고 있는 것이다. 외관상 전통적인 먹그림의 형식논리가 여실하면서도, 정작 그 속에 담겨진 내용만큼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일들로 채워진 그림이 친근함과 동시에 극적 긴장감과 같은, 외관상 함께하기 어려운 이질적인(혹은 대극적인?) 요소들을 하나로 통합시켜놓고 있는 것에서 작가의 남다른 감각이 읽혀진다.

역사현장 시리즈는 한국정치사의 상흔을 간직하고 있는 장소를 탐방하고 기록한 것이란 점에서 일종의 기록화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장소특정성 개념과 함께 작가의 현실인식이 맞닿아 있는 근간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벽은 이념의 메타포라고 했다. 그것은 작가가 머릿속에 구상하고 있을 이념 혹은 가상적 이미지일 수도 있고, 하얗게 빈 화지 자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벽은 모든 창작주체가 대면하기 마련인 빈 화면을 의미하며, 이로부터 개시되어질 잠재적인 어떤 세계를 의미한다(하이데거는 예술을 이로 인해 비로소 가능해질 어떤 세계를 개시하는 행위에다 비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치적인 분단현실을 상징하며, 이로부터 파생된 사람과 사람간의 보이지 않는 이념의 벽(이를테면 좌파와 우파, 보수와 진보 같은)을 상징하며, 나아가 서로를 소외시키는 불통의 벽을 상징한다. 그리고 이보다 더 실질적으로는 실제의 벽을 의미한다. 여기서 벽의 의미는 일상성을 획득한다.

흔히 상념의 벽이라고들 한다. 벽을 쳐다보고 있으면 온갖 상념이 다 떠오른다. 벽이 상념을 위한, 상념을 불러오는 캔버스인 셈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그 빈 벽에서 자연적 풍경과 함께 홍수와 전쟁 같은 사건적 풍경을 본다고 했다. 그리고 시인 백석은 이국의 골방에서 망국과 망향의 그리움을 떠올린다(벽이었던가, 아니면 문풍지?). 그렇다면 성태훈은 그 빈 벽에서 무엇을 보는가. 그 벽은 주로 타일이 시공된 욕실 같은 일상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그 벽에서 작가는 불현듯 역사를 보고, 전쟁을 보고, 전쟁과 다를 바 없는 삶의 참상(이를테면 재개발 현장이나 백화점 붕괴 장면을, 그리고 테러 현장과 같은 사건과 사고)을 보고, 그 모든 전쟁이 남긴 상흔을 본다. 상흔을 만든 것은 과거시제에 속하지만, 그것이 남긴 상흔 자체는 현재시제에 속한다. 이렇게 작가의 상념 속에서 과거는 현재로 호출되고 되살아난다. 현재는 언제나 현재 자체로서보다는 과거에 중첩돼 있고, 과거 위에 축조돼 있다. 해서, 현재로부터 과거를 떨쳐낼 수가 없다. 이 상흔을 다음 세대를 상징하는 어린 소녀가 물끄러미 응시하고 있다. 이 상흔 그대로를 소녀에게 물려줄 수는 없는 일이다. 해서, 작가는 수도꼭지를 열어 상흔을 씻어낸다. 이렇게 역사가 흘러가고, 전쟁이 흘러가고, 전쟁과 다를 바 없는 삶이 흘러내린다. 그렇다고 쏟아져 내리는 물을 폭포 삼아 세수대야 속에서 유유자적 물놀이에 여념이 없는 천진난만한 소녀의 상념 속에서 그 상흔이 지워질 수가 있을까? 전쟁의 상흔과 소녀의 물놀이와의 대비. 여기서 작가는 반어법 혹은 아이러니 화법을 구사한다.

그리고 그 화법은 길을 묻는다는 주제 이후 본격적으로 심화되고 다변화된다. 길을 묻는다는 주제는 그 이면에 길을 잘 모르겠다거나 길을 잃어버렸다는 현실인식을, 일종의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현실에는 길이 없다. 그렇다면 어디서 어떻게 길을 찾을 것인가)을 숨겨 놓고 있다. 이 주제는 말하자면 정체성 상실과 관련이 깊고, 왜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를 되묻는 것이다. 이때부터 작가의 그림에는 헬리콥터와 아파치 헬기, 그리고 전투기가 등장한다. 멀쩡한 일상 위로, 이를테면 산행하는 사람들 위로, 화분에 심겨진 화초 위로, 흐드러진 매화나무 위로 중무장한 전투기가 날아다닌다. 사람들은 자기 머리 위로 전투기가 날아다닌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도 같고, 무관심한 것도 같다. 여기서 작가는 일종의 낯설게 하기를, 소외효과와 소격효과를 시도한다. 사람들은 일상이 멀쩡한 줄만 알고 있었지, 위험한 줄은 모른다. 바로 옆에서 테러가 자행되고, 폭력과 린치가 난무하고,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나는데도 그저 무심할 뿐이며, 남의 일이려니 한다. 여기서 작가는 멀쩡한 일상에 멀쩡하지 않은 일상을 들이댐으로써, 멀쩡한 것으로만 알고 있었던 일상이 사실은 결코 멀쩡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는 것이다.

처음에 작가는 이 전투기를 등에에게서, 그리고 모기에게서 착상했다고 한다. 주지하다시피 등에나 모기는 사람과 가축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곤충이다. 가축과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분명 성가신 일이지만, 저 자신의 생리를 생각하면 어쩔 수 없는 일이지, 싶기도 하다. 그런데, 그게 비유법이라면? 만약 등에나 모기처럼 다른 사람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흡혈귀나 철면피 같은 사람이 실제로 있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식민제국주의와 후기식민주의, 세계주의와 신자유주의, 지구공동체(그 이면에 전 지구의 시장화의 기획을 숨겨놓고 있는), 자본주의의 물신과 다국적 기업을 지지하고 있는 경제논리가 실제로 지구 전체를 숙주와 기생의 관계로 가름해놓고 있다. 작가는 이 엄연한 현실, 불합리한 현실을 상징한 것이다. 그렇게 나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누군가에게 피를 빨리고 있었고, 혹 내가 누군가의 피를 빨아먹고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사람들의 머리 위로, 화초 위로, 매화 위로, 일상 위로 무심하게 날아다니는 헬기는 이처럼 사실은 결코 무심한 것이 아니었음이 드러난다.

그리고 매화는 추위에 향을 팔지 않는다. 매화는 추운 겨울 동안에도 결코 향을 팔지 않은 탓에 봄에 그토록 이나 진한 향기를 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매화는 난세에 섣불리 나서지 않고,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리는 선비의 기개와 절개를 상징한다. 그리고 그 상징 그대로 작가정신의 모델이 되고, 우리 모두의 귀감이기도 하다. 겨울이 아무리 혹독해도 봄은 기어이 오고야 말며, 난세가 아무리 험난해도 호시절은 반드시 온다. 혹, 그 시절이 안 올 수도 있고, 실제로 안와도 그만이다. 그 시설이 온다고 믿는 신념이야말로 진정 인간을 인간이게 해주는 자질이지 않을까(실존주의는 인간을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찾아지는 것, 만들어지는 것, 과정이라고 본다). 여하튼, 그렇게 봄이 오면 매화는 가장 먼저 꽃을 피운다. 매화가 일단 꽃을 피우고 나면, 벌도 아닌 것이, 모기도 아닌 것이 그 주변을 붕붕거리며 아무리 바람을 일으켜도 매화의 향기는 결코 잦아들지가 않는다. 오히려 바람은 매화의 향기를 더 멀리까지 퍼트려주기조차 한다.

매화는 봄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운다고 했다. 그런 탓에 매화는 봄의 전령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작가의 근작에 등장하는 닭은 새벽을 알리는 전령이다. 그런 점에서 매화와 닭의 의미는 서로 통한다. 봄을 여는 전령과 새벽을 여는 전령. 겨울을 농축했던 매화처럼, 닭 역시 밤을 삼킨다. 겨울을 통과하지 않은 매화나, 밤을 지나쳐오지 않은 닭은 없다. 매화가 여는 봄은 겨울을 통과한 것이어서 더 따뜻하고, 닭이 알려주는 새벽은 어둠 속에서 더 빛난다. 이렇게 작가는 역사의 흔적 위에, 전쟁의 상흔 위에, 결코 전쟁에 덜하지 않는 삶의 피폐해진 폐허 위에 희망의 씨알을 뿌린다. 이렇게 작가는 이전 그림들에서 트라우마를 다루고, 근작에선 그 트라우마를 감싸 안는 방법을 다룬다.

그리고 그 방법은 일종의 초현실적이고 비현실적인 상황논리에 의해 증폭된다. 즉 초록색 꽃을 피우는 매화나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닭이 그렇다. 작가의 그림에선 심지어 병아리마저도 난다. 어디 병아리뿐이랴. 보이지는 않지만, 그리고 그려져 있지는 않지만 작가의 그림 속에서만큼은 노숙자도 날고, 거렁뱅이도 날고, 주정뱅이도 날고, 피폐해진 영혼을 위로 받고 싶은 사람들이 날고, 산 채로 생매장 당해 죽은 돼지들이 하늘 높이 날아오른다. 그 자체 유토피아의 표상이랄 수 있는, 이 있을 법하지 않은 사실은 희망을 더 희망답게, 꿈을 더 꿈답게 해준다. 꿈꾸기가 아니라면 이 전쟁과도 같은 삶의 현실을 어떻게 지나갈 수가 있을까. 니체는 미학이 아닌, 그 무엇으로도 삶은 정당화될 수가 없다고 했다. 꿈속으로 도피하기가 아닌, 꿈속으로 도약하기, 허구로써 실제를 메우고 수선하기, 그렇게 실제를 메워나가다가 종래에는 아예 허구로써 실제를 재편하고 재구성하기. 예술만이 할 수 있는 일이며, 예술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Trauma, Healing and Flying with Embracing Trauma
[By Kho, Chung-Hwan]



Historical Site (1999-2003), Reflections from the Wall (2004-2005), Asking Where to Go (2006-2007), Plum Blossoms Do Not Give Away Their Scent, despite the Coldness of Life (2008), and Flying Roosters (2009). This is a listing of Seong Tae-hun’s history in painting thematically and chronologically. It is noticeable that history serves as a metaphor for time, walls as ideology and roads as life. This series of metaphors tell us that Seong’s painting is focused on existential conditions which are generally applicable to human beings as well as realistic awareness of the here and now. You may feel hard-pressed to find pure and abstract ideology in these paintings, something which is typical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It is, however replaced with poignant historical awareness.

Strictly speaking, the ideological utopia as legacy of traditional painting turns into a vision of the here and now in relation to zeitgeist. Our traditional legacy is newly dressed as a contemporary issue. As such, even though Seong firmly follows rules of Korean painting as a genre, he is unusually skillful in dealing with a cacophony of visual elements which collide with one another due to his depictions of current issues, thereby bringing a sense of intimacy and dramatic tension to the picture. The series of Historical Site is concerned with exploration and documentation of sites which are bereaved of Korean political history, revealing Seong’s tendency to combine the notion of the site-specific and his historical awareness

Seong stated that the wall serves as a metaphor for ideology. It can be either ideological or virtual images within his mind, or stark white canvas itself. In this context, the wall means both empty canvas which every artist should confront and a certain latent world that can be developed on the canvas (Martin Heidegger compares art to acts showing a certain world which will finally take place through it). More specifically, it stands for political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in Korea, and subsequently a derived invisible ideological wall among people (like the left vs. the right, and the progressive vs. the conservative) furthermore, it stands for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hich alienates one another. Lastly, it incorporates the concept of actual walls, here the wall is related to the everyday.

‘Wall of thoughts’ is a saying that reflects what happens when taking a look at a wall, you may experience that all kinds of thoughts arise. Walls are a type of canvas for thoughts or bringing up thoughts. Leonardo Da Vinci said that he saw not only natural landscape but incidental happenings such as floods or warfare from an empty wall. The poet Baek Seok said he felt irresistible longings for a lost country and birth place when looking at a wall (or screen paper) in a foreign land. Then what does Seong see on an empty wall? Walls in his paintings are often shown in our everyday life as parts of bathrooms covered with tiles, from these walls the artist sees scenes from history, warfare, pandemonium similar to warfare(such as collapses of reconstruction sites or Sampoong department store, and terror scenes) and the scars followed by them. What brought the scars passed but the scars remain in the present. As such, what happened in the past is brought up to the present and to life again. The present overlaps the past, and builds onto the past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present itself. Therefore, the present is far from running away from the past.

A little girl, symbol of the next generation, gazes vacantly. It is not desirable to pass on these scars to the next generation. This is the reason why Seong turns on a faucet and washes the scars. This is the way history runs through, warfare runs through, and life which is not unlike warfare runs through. However, can the scars be removed while she is playing with water falling from the faucet into the basin? Seong utilizes irony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scars from warfare and dabbling in the water.

The ironical expression was intensified and diversified with the theme of Asking Where to Go. The theme hides a type of negative perspective which says that we are already lost. This theme is concerned with loss of identity and what is hidden beneath it. From that time, helicopters, Apache helicopters and fighters appeared. The fully armed fighters are flying over our mundane everyday life, such as people trekking on mountains, plants embedded in pots, and plum blossoms in full bloom. They don't seem to know that fighters are flying over their heads, or seem not to care at all. In this context, Seong tries a type of unfamiliarization. They take routines in life for granted and never doubt how dangerous they can be. Despite rampantly occurring terror, violence, lynching, and numerous unimaginable events, they are indifferent and seem to think they occur somewhere else. Seong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se seemingly perfect routines are far from it.

Seong derived his idea for fighters from horseflies and mosquitoes. As it is already known, horseflies and mosquitoes are bugs which live by sucking blood from people and livestock. Harmful as it may be to people and livestock, it is somewhat understandable physiology of their own. When it is a metaphor for impudent blood-sucking people like vampire, it is a different issue. Economic logics supporting post-colonialism, colonial imperialism, cosmopolitanism, neoliberalism, globalization (hiding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entire world), commodity fetishism of capitalism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s divide the entire world into hosts and parasites. The artist depicts this stark and absurd reality. We were sucked by someone out of ourselves, or we may have sucked someone else out. By now, the helicopters flying carelessly over mundane routines, their heads, the plants and plum blossoms should never be taken carelessly.

Plum Blossoms Do Not Give Away Their Scent, despite the Coldness of Life. Plum blossoms can emit such a strong scent in the spring because they didn’t lose their scent in spite of extremely harsh coldness in winter. They symbolize integrity and fidelity of Korean gentlemen who wait for the right chance in a troubled era until the time ripens. As such they are qualified enough to be a standard of mindset for artists. No matter how severely cold winter is, spring shall come; no matter how harsh reality gets, better times shall come. Or the better times may not come and in actuality whether they come or not do not matter. Faith itself may serve as a condition which makes us what we are (According to existentialism, human beings are neither born not found but made in process). Once plum blossoms are in full bloom, their scent never dies away despite disturbances like noises from surrounding bugs. Rather the scent spreads further through the fuss they make.

Plum blossoms are said to be in bloom at first in the spring. It makes them considered to be heralds of spring. Roosters appearing in his latest work are heralds of dawn. For this reason, plum blossoms and roosters share something in common as heralds for spring and dawn respectively. As the flowers brood winter, roosters swallow night. There are neither plum blossoms which never pass through winters, nor roosters which never pass through nights. Springs are much warmer through plum blossoms, and dawns are much more radiant through darkness. This is the way the artist plants seeds of hope on historical sites, scars from warfare, and ruins of life. Seong dealt with trauma in previous paintings and now shows us how to embrace it.

This method gets expanded through a certain kind of surrealistic and nonrealistic situational contingency. In other words, it is the case with green-colored plum blossoms and soaring roosters up in the sky. Even chicks are flying in his paintings. They may not be everything he wanted to depict. Seong may have envisioned flying homeless people, flying beggars, flying drunkards, flying people who want to get solace and dead pigs which were buried alive. This implausible fact as a utopian representation leads hopes more like hopes and dreams more like dreams. But for dreaming, how can we hang onto this harsh reality of life which is unlike that of warfare? Friedrich Nietzsche stated that life can’t be justified with anything but aesthetics. Leaping into dreams rather than running away into dreams, supplementing and repairing reality with the help of fiction, and reconstructing reality based on fiction to finally replacing the former with the latter is what only art can make happen.


Articles

1 2